국정자원 화재 완전 복구일정 - 이재명대통령 비상회의 내용 포함
“한 달의 전쟁” 국정자원 화재, 언제 완전 복구되나?
대전 국정자원 본원 이후의 시간표와 대책
불이 꺼진 자리에 남은 건 검게 그을린 서버랙과, 화면이 다시 켜지기만을 기다리는 국민들의 일상이었습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멈췄고, 이 가운데 96개 시스템은 전소 판정을 받았습니다. 정부는 전소 시스템을 대구 센터로 이전해 복구하고, 정보자원 준비 2주 + 시스템 구축 2주의 로드맵을 제시했습니다. 현실적인 목표치는 약 4주. 다만 민생 서비스는 순서대로 앞당겨 정상화하고 있습니다. 9월 29일 오전 기준 47개, 정오 62개, 9월 30일에는 81개까지 복구됐습니다. MBC
누가 무엇을 지시했나—컨트롤타워의 메시지
이재명대통령은 즉시 비상회의를 열고 **“신속 복구·불편 최소화·투명한 소통”**을 지시했습니다. 특히 “납세 등 행정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국민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문했고, 복구 현황을 숨김없이 설명하라고 강조했습니다. 대통령실 브리핑
김민석 국무총리는 중대본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가용 자원 총동원, 가감 없는 공개, 신속 복구”**를 지시했고, 초기에는 소방·경찰·지자체 총력 진압을 명령했습니다. 세금·서류 제출 기한 연장 등 불이익 방지 조치도 나왔습니다. 경향
왜 ‘한 달’인가—복구 메커니즘의 현실
행안부는 전소 96개를 대구 센터에 새로 구축하는 방안을 택했습니다. 정보자원(서버·스토리지 등) 준비 2주 + 서비스 구축 2주, 총 4주가 표준 예상치입니다. 동시에 국민 체감도가 높은 정부24·우체국 금융·모바일신분증등은 우선 복구로 라인업을 짰습니다. 이 수순은 “모든 걸 한 번에”가 아닌, 민생 중심의 단계적 정상화라는 의미입니다. MBC
재발을 막으려면—기술·제도 처방전
이번 화재는 UPS 리튬이온 배터리 작업 중 발화 정황, 노후 배터리 교체 권고 이슈 등이 겹쳐 구조적 취약을 드러냈습니다. 전산실의 물리적 분리·방화 구획, 배터리 전주기 안전 기준(교체 주기·열폭주 차단 설계), 핵심 시스템 이중화(액티브-액티브), 이상행위 탐지(UEBA), 비정상 트래픽 레이트 리미팅, DR(재해복구) 리허설이 필수 과제로 지목됩니다. 정부는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TF를 띄워 핵심 전산망 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겨레21
국민에게 중요한 건 ‘일상으로의 복귀’
기술은 사람을 위해 존재합니다. 복구 타임라인의 숫자 뒤엔, 등본 한 장을 떼려다 멈춘 화면 앞에 선 시민과, 밤샘으로 시스템을 붙잡고 있는 엔지니어가 있습니다. 완전 복구의 표준 목표는 4주지만, 정부는 일정을 최대한 당기겠다고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확인해야 할 건 ‘언제 켜지느냐’와 함께, 다음엔 꺼지지 않도록 뭘 바꿨는가입니다. 정부 브리핑 요지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