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업데이트 내용과 대처방안 "카톡, '프로필 설정' 안 하면 내 사진 전부 뜬다"
2025년 9월 23일 카카오는 대규모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챗GPT를 비롯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됐으며, 카카오는 이를 '카톡 2.0' 시대가 열렸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단순한 기능 개선을 넘어 메신저 중심 플랫폼에서 소셜 피드와 인공지능 서비스가 결합된 새로운 서비스로 전환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변화는 단순히 채팅 기능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메신저 서비스에서 소셜 네트워크와 인공지능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으며 온라인을 중심으로 활발한 의견이 오가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 내용과 이에 대한 사용자 반응, 그리고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취할 수 있는 대처 방안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카카오톡 업데이트 주요 내용
구분 | 변경 내용 | 특징 |
---|---|---|
UI 변화 | 기존 친구 목록 중심 구조에서 피드형 구조로 전환 | 프로필, 게시물, 배경 등이 타임라인 형태로 노출 |
AI 기능 | 챗GPT 연동, 메시지 요약 기능, 보이스톡 텍스트 변환 | 업무 및 학업 효율성 증대 기대 |
메시지 기능 | 보낸 메시지를 24시간 이내 수정 가능 | “수정됨” 표시가 남아 투명성 유지 |
광고 노출 | 피드 내 광고 비중 확대 | 이용자 반감 가능성 존재 |
개인정보 설정 | 프로필 공개 범위 세분화 | 친구 전체, 일부 친구, 나만 보기 선택 가능 |

사용자 반응
반응 유형 | 내용 |
---|---|
부정적 반응 | 친구 목록이 피드로 바뀌어 혼란, 사생활 노출 우려, 광고 과다 지적 |
긍정적 반응 | 메시지 수정, 보이스톡 요약, AI 기능 등은 실질적 편의성 제공 |
중립적 시각 | 초기에는 불편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적응할 수 있다는 의견 |
소비자 대처 방안
대처 방법 | 설명 |
---|---|
프로필 공개 범위 설정 | 불필요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일부 친구만 보기 또는 나만 보기 선택 |
자동 업데이트 해제 | 원치 않는 시점에 UI가 바뀌지 않도록 스토어에서 자동 업데이트 끄기 |
광고 최소화 | 피드 대신 대화창 중심으로 사용하여 광고 노출 빈도 줄이기 |
AI 기능 활용 | 메시지 요약, 보이스톡 변환 등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은 적극 활용 |
커뮤니티 정보 활용 | 다른 사용자들의 후기나 설정 팁을 참고해 개인 맞춤형 대응 |
카카오톡 업데이트는 단순 기능 보강이 아니라 서비스 방향 자체를 바꾸는 중요한 계기입니다. 초기에는 거부감과 불편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일부 기능은 일상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개인 설정을 통해 불필요한 노출을 줄이고 필요한 기능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변화는 불가피하지만 현명한 대처를 통해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